-
1. 개요
일반 노동시장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장애 등급과 유형에 맞춘 복지 일자리 제공으로 사회참여 확대 및 자립생활 활성화 도모
-
2. 선정기준
가. 신청대상: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중 보조인 없이 담당업무 수행 가능자
○ 일반형일자리
- 장애인일반형일자리사업 참여자 선발 기준표에 의거 행정업무 수행능력을 고려 업무수행 가능자 선발 및 선정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확정
- 선발제외 대상
ㆍ정부부처 및 지자체에서 추진중인 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
ㆍ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는 자(단, 소득이 없는 사업자의 경우 무소득사실증명원을 관할세무서에서 발급받아 제출시 참여 가능)
ㆍ국민건강보험 직장 가입자(피부양자는 제외)
ㆍ최근 1년 이내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제한 조치를 받은 자
ㆍ기타 담당업무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·인정되는 자
- 반복참여 제한
ㆍ장애인의 참여기회 확대 및 시장진입 촉진을 위해 2년을 초과하여 연속 참여한 장애인은 참여 불가
ㆍ예외 : 중증장애인(장애등급 1~3등급), 특수교육대상자, 기초생활수급 등 가구여건상 특수한 사유가 있는 경우, 모집·선발시 신청자가 미달인 경우 반복참여 허용
○ 복지일자리
- "2018년 장애인일자리사업안내"에 의거 위탁기관에서 선발
- 3. 서비스내용
가. 지원내용
구분 |
내용 |
근로시간 |
인원 |
일반형
(전일제) |
미취업장애인의 일반노동시장으로 전이를 위한 실무능력 습득지원 및 일정기간 소득을 보장하는 일자리. 공공기관 및 사회복지시설의 행정도우미, 편의시설 모니터링 요원, 복지서비스 지원 요원, 보육도우미 등으로 근무 |
주5일
(40시간) |
42명 |
일반형
(시간제) |
주5일
(20시간) |
42명 |
복지일자리 |
취업이 어렵거나 경험이 없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경험을 지원하는 일자리. 사회복지시설에서 환경미화 및 급식지원, 복지서비스 지원, 안마서비스 봉사(시각장애인) 등 업무 수행 |
주14시간
(월 56시간) |
61명 |
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보조일자리 |
발달장애인을 직무 관련 기본교육 진행 후 요양보호사의 전반적 업무를 보조하는 일자리에 배치 |
주5일
(주25시간) |
17명 |
나. 신청방법: 매년 12월 초 사회복지과(일반형, 시간제) 및 민간위탁기관(복지일자리,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)에서 다음해 참여자 공개모집(선발 이후 신청자는 대기자로 등록·관리)
- 4. 담당부서,팀
보건복지부
- 5. 문의처
장애인자립기반과
보건복지부 콜센터 129
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1577-7114
- 6. 홈페이지
- 7. 최종 수정일자
2024.01.29